전체 글 1357

보성 일림산 (2023. 4. 26. 수)

#야우리 산악회...... #일림산 주차장 - 626 고지 - 헬기장이정표 - 발원지사거리 - 전망대 - 1 정상삼거리 - 일림산(677.5m) - 2 정상삼거리 - 골치산 - 골치산 작은봉 - 골치재사거리 - 골치재입구 - 편백나무숲 - 용추교 - 주차장 8.84km 4:20 산악회와 반대 방향으로 7명이 화장실 뒤편 이정표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작년에 일림산을 다녀온 선달님이 이 길로 가면 더 많은 철쭉을 정면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어제 내린 비로 길은 먼지도 없고 촉촉하여 걷기가 너무 좋습니다 연둣빛의 커다란 나무가 우뚝 서있습니다 아직도 빗물을 머금고 있는 #철쭉이 싱그럽고 예쁩니다 바람이 얼마나 불어대는지 조릿대 숲을 지날 때는 강풍에 파도가 밀려오는 듯한 소리가 하늘에서 들려옵니다 한 참을..

2023년 산행 2023.04.27

앵초 (2023. 4. 23. 일)

#천안에서.......... #앵초 앵초목> 앵초과> 앵초 속으로 4월경 붉은색, 자주색, 흰색의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국의 냇가 부근 습지나 풀밭에서 자라며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 모양이 앵두와 같다 하여 앵초라는 이름이 붙었고 꽃말은 '어린 시절의 슬픔'이다 잎이 둥근 큰앵초, 산 위에서 자라는 설앵초, 잎이 작고 뒷면에 황색 가루가 붙어 있는 좀설앵초가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에는 #흰앵초로 검색이 되지만, 국가생물종자지식정보시스템에는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 그냥 #앵초라고 해야 한답니다 #인디카 충청정모

야생화 출사 2023.04.25

거창 수승대 거북바위(2023. 4. 21. 금)

#거창에서...... #수승대 경남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790에 위치하며, 삼국시대에는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였고 백제와 신라가 대립할 무렵 백제에서 신라로 가는 사신을 전별하든 곳으로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을 근심하였다 하여 근심 수(愁), 보낼 송(送) 자를 써서 수송대(愁送臺)라 하였다. 지금의 이름은 퇴계 이황 선생이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다며 음이 같은 수승대(授勝臺)라고 고칠 것을 권했다 한다. 거북바위를 중심으로 계곡 진입부에는 구연서원, 관수루가 있으며 건너편에는 요수정이 있다. 2022년 11월에 개장한 수승대 출렁다리도 있다. #수승대의 #거북바위 주변에 진달래가 예쁘게 피어 있습니다 #귀연교와 #거북바위 #벚나무(수양벚꽃)

풍경출사 2023.04.25